old/Network
[자료] NTP 취약점을 이용한 NTP reflection attack
https://isc.sans.edu/diary/NTP+reflection+attack/17300 http://www.us-cert.gov/ncas/alerts/TA14-013A NTP 취약점을 이용한 NTP reflection attack 추후 정리..
https://isc.sans.edu/diary/NTP+reflection+attack/17300 http://www.us-cert.gov/ncas/alerts/TA14-013A NTP 취약점을 이용한 NTP reflection attack 추후 정리..
http://sempersecurus.blogspot.jp/2013/12/another-look-at-cross-platform-ddos.html pcap과 이미지가 제공되어 실습이 가능합니다.
Data link 계층은 상위 계층의 패킷을 전달받아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Physical 계층에 전달한다. 이때, 이더넷 헤더에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정보와 src, dst MAC address 정보가 담긴다. [그림 1] Ethernet V2 구조 위 그림은 Ethernet V2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IEEE802.3의 경우 'Type'이 아닌 'Length' 정보가 담겨있고 DSAP, SSAP, Control 필드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Preamble : Physical 계층에서 전송된 비트패턴으로 송신자와 수신자의 동기를 맞추는데 사용된다. 7byte크기이며 항상 10101010 으로 설정된다. 패킷 캡쳐 범위 밖이다. SOF(Start Of Frame) : 물리계층이 끝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