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transport 계층의 대표적인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다. TCP는 기본적으로 하위계층에서의(network, datalink 계층) 패킷 손실, 중복, 오류 등 모든 전송 문제를 검출하고 해결한다. TCP의 연결이 설정되고 통신하는 동안 두 종단 사이에는 다수의 옵션이 교환된다. 때문에 UDP에 비해 기능과 역할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신뢰성 있는 통신이 가능하다. 위 그림은 TCP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이 중 위부터 다섯줄(20byte)이 TCP 헤더이다. Source Port : 패킷을 송신하는 시스템의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의 경우 예약된 0-1023의 well-known 포트번호를 제외한 번호를 임의로 생성하고 서버의 경우 ..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transport layer에서 동작하는 비연결지향형 프로토콜이다. 연결지향형인 TCP와는 달리 단순 오류검출 기능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흐름제어나 오류제어등의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에서 담당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UDP는 best-effort protocol로도 불린다. UDP는 그 특성 때문에 다른 전송 프로토콜에 비해 오버헤드가 적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 소량의 데이터 전송 시에는 UDP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림 1] UDP 구조 Source Port : 해당 패킷을 만든 송신자의 어플리케이션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Destination Port : 해당 패킷을 수신할 어플리케이션의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Length : UD..
“전문성과 인성 갖추고 조정자·전달자·중재자 역할 담당해야” [인터뷰]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관리팀 고규만 책임연구원 [보안뉴스=임종민·민세아 객원기자] 올해 개인정보 보호 인증(PIPL) 제도가 새로 시행되고, 기존 ISMS, PIMS 인증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각 인증제도의 심사를 담당하는 인증심사원의 역할과 자격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이번 보안직업군 프로젝트에서는 ISMS, PIMS 인증 심사팀장으로 활약하고 있고, 올해 추진된 ISMS 인증 개정작업을 주도한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관리팀 고규만 책임연구원을 만나봤습니다. Q. 인증심사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해 주신다면?각 산업분야별로 다양한 인증제도가 있으며 그 제도마다 인증심사원들이 존재합니다. 제가 속한 한국인터넷진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