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념 NetworkPolicy의 Ingress와 개념은 같지만 컨셉이 다름 클러스터 외부에서 HTTP/s를 통한 클러스터 내부로의 요청을 처리하는 규칙 예를들어 클러스터에 /member 와 /product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운영중이고 개별적인 요청을 핸들링하고자 할 때 Ingress 활용 2. 실습 링크 참고 3. Ingress 핸들링 Ingress 리소스 확인 : kubectl get ingress -A Ingress 리소스 설정 확인 : kubectl describe ingress [인그레스_이름]
1. 개념 PVC를 이용해 볼륨을 손쉽게 요청할 수 있으나 운영자는 PV로 사용할 볼륨을 수동으로 프로비저닝해야 함(Static Provisioning 방식)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볼륨을 생성·할당하는 StorageClass를 사용(Dynamic Provisioning 방식) 2. StorageClass 생성 StorageClass 생성 apiVersion: storage.k8s.io/v1 kind: StorageClass metadata: name: demo-sc volumeBindingMode: WaitForFirstConsumer provisioner: kubernetes.io/aws-ebs parameters: type: io1 iopsPerGB: "10" fsType: ext4 ..
1. 개념 영속성을 보장할 수 없는 파드에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언제든 데이터가 사라질 가능성 존재 따라서 파드의 생명주기와 무관하게 저장이 유지되는 데이터 저장소가 필요한데 이런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개념이 PV(PersistentVolume)와 PVC(PersistentVolumeClaim) PV : 데이터를 저장할 볼륨. 볼륨을 생성하고 이를 클러스터에 등록한 것 PVC : 필요한 저장 공간·RW모드 등 요청사항을 기술한 명세로서 PV에 전달하는 요청. PV와 바인딩을 하는 목적으로 사용 2. PV 생성 demo-pv라는 PV 생성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demo-pv spec: capacity: storage: 100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