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DevOps Security Specialist를 목표하는 Security Compliance Engineer의 블로그
etc

AWS에 ELK 스택 구축(7.x)

1. ELK 스택 개념 beats 일종의 에이전트 역할로서 로그를 수집하고자 하는 서버에 설치 단순히 로그를 수집해서 output(전송)하는 역할 logstash ELK 서버 또는 클러스터에 설치 beats로 부터 수신한 로그를 관리자가 원하는 형태로 재가공해서 es로 전송하는 역할 elasticsearch ELK 서버 또는 클러스터에 설치 대용량의 로그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역할 kibana ELK 서버 또는 클러스터에 설치 수집한 로그를 다양하게 시각화해서 대시보드로 보여주는 역할 2. 구성도 3. ELK 스택 구축 3.1. ELK 인스턴스 생성 OS : Ubuntu 20.04 LTS 64bit x86 type : ELK가 메모리를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최소 t2.medium 이상 3.2. Elasti..

etc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CKA) 자격증 취득 후기(22.12. 시험)

1. 취득 계기 MSA가 대세아닌 대세가 된 현 시점에서 K8s는 산업계 표준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현업 깊숙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 엔지니어 입장에서 보안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적용을 요청하기 위해 자의반 타의반으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해서인지 공부하는 과정이 상당히 즐거웠고 재밌었네요. 앞으로 남은 CKAD와 CKS까지 천천히 공부하려고 목표를 잡고 있는데 벌써부터 설레는 마음입니다. 취득 기간은 하루에 최소 1시간씩 주 4~5일씩 공부했고 총 6개월이 소요됐습니다. 파드랑 노드가 뭔지도 모르는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한 것 치고는 적절한 시간이라고 생각해봅니다. ㅎㅎ 2. 공부 방법 1. 강의 쿠버네티스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에 한글로..

etc

WSL2 설치

1. WSL 설치 OS 버전 확인 window + R → winver 입력 → 20H1 버전 이상인지 확인 WSL 설치(관리자 권한 powershell에서 명령어 실행)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2. version2 변환 파워쉘 관리자 권한 실행 후 명령어 입력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MR. ZERO
Security & Dev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