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32조 제2호 다목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5조 제5항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4조 제7항, 제8항 2. 개요 EC2 인스턴스 생성 시 기본적으로 root 계정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인스턴스 운영과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 설정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취약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했을 경우 취약하지 않음 4. 취약점 확인 방법 인스턴스 접속 후 shadow 파일 확인 sudo cat /etc/shadow root 계정의 두 번째 컬럼에서 ..
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제1항 제1호, 제2호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5조 제4호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4조 제1호 2. 개요 AWS는 브루트포싱 공격 및 패스워드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인스턴스 접속 시 Pem Key를 활용해 접속하는 것을 권고(인스턴스 생성 시 디폴트로 “PasswordAuthentication no” 설정) 따라서 담당자별로 인스턴스 계정을 생성하고, Pem Key를 이용해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인스턴스 접속 시 계정/패스워드로 인증을 수행하거나, 담당자별로 계정을 생..
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7조 제1항 제4호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6조 제4항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7조 제5항, 제7항 2. 개요 데이터 유•노출 시 데이터 보호를 위해 EBS 볼륨 암호화 적용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EBS 암호화 설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취약 EBS 암호화 설정을 적용한 경우 취약하지 않음 4. 취약점 확인 방법 - (1) 관리 콘솔에서 확인 관리 콘솔에서 [EC2] 검색 → [볼륨] 메뉴 클릭 → [암호화] 컬럼 확인 4. 취약점 확인 방법 - (2) AWS CLI에서 확인 EC2 권한을 보유한 계정의 A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