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개요 임시로 사용할 IAM 계정에 권한을 부여ㆍ변경ㆍ회수하는 과정에서 워크로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임시 계정에 과도한 권한이 부여되거나, 사용이 끝나도 삭제되지 않는 등 문제점이 발생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TS 이용 필요 STS로 부여받은 권한은 1시간 동안 유효 2. 취약점 판단 기준 STS를 활용하지 않고 IAM 계정 또는 그룹에 직접 권한을 부여하여 AWS 리소스를 핸들링 하는 경우 취약 STS를 활용해 임시 권한을 부여하여 AWS 리소스를 핸들링 하는 경우 취약하지 않음 3. 취약점 확인 방법 담당자 인터뷰 및 관련 증적을 통해 STS 활용 여부 확인 4...
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제1항 제4호, 제14호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4조 제1항, 제2항, 제3항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5조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2. 개요 IAM 계정을 관리하는 방법은 수동으로 관리하는 방식부터 오픈소스ㆍ3rd party 솔루션을 활용하는 방식까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목적론적으로는 IAM 계정 및 역할의 신청ㆍ할당ㆍ관리ㆍ회수에 대한 Life-Cycle 수립을 지향 해야함 Life-Cycle 수립 시 AWS 도큐먼트와 다양한 오픈소스를 참고하여 구성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IAM 계정 관..
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제1항 제12호 전자금융감독규정 제32조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4조 제8항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5조 제5항, 제6항 2. 개요 관리 콘솔에 접근 가능한 IAM 계정의 비밀번호 복잡도 및 변경 주기 정책을 설정하여 brute force 등 계정 탈취 공격에 대한 보호 필요 [알림] 해당 설정을 적용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사례 "관리자 비번 알아내 클라우드 접근…보안사고 대책 시급" 3. 취약점 판단 기준 영문ㆍ숫자ㆍ특수문자 중 2종류를 조합하여 10자리 이상 또는 3종류를 조합하여 8자리 이상의 길이로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