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조 제1항 제4호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5조 제1항 2. 개요 권한 관리의 효율성과 편의를 위해 그룹에 권한을 할당하고, 권한이 필요한 IAM 계정을 해당 그룹에 연결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IAM 계정에 직접 권한을 부여한 경우 취약 권한을 부여한 그룹에 IAM 계정을 연결시킨 경우 취약하지 않음 4. 취약점 확인 방법 - (1) 관리 콘솔에서 확인 관리 콘솔에서 [IAM] 검색 → [사용자] 메뉴 클릭 → IAM 계정 클릭 → [권한] 탭 권한 직접 할당 여부 확인 4. 취약점 확인 방법 - (2) AWS CLI에서 확인 ..
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호 제1항 제1호 전자금융감독규정 제32조 제2호 가목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4조 제8항 제3호 2. 개요 AWS 리소스 핸들링을 위해 IAM 계정에 Access key(Access key ID/Secret access key)를 발급한 경우 주기적으로 변경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Access key 변경 주기를 지정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Access key를 변경하지 않은 경우 취약 Access key 변경 주기를 지정하고, 주기적으로 Access key를 변경한 경우 취약하지 않음 4. 취약점 확인 방법 - (1) ..
0. 들어가며 해당 글은 본인이 노션으로 작성해 공유한 AWS 보안 점검 및 설정 가이드의 내용을 티스토리에 옮긴 것입니다. 1. 관련 법령 전자금융감독규정 제13호 제1항 제1호 2. 개요 IAM 계정에 발급한 Access key의 이용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은 Access key 삭제 필요 3. 취약점 판단 기준 주기적으로 Access key 이용 현황을 점검하여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은 Access key를 삭제하지 않는 경우 취약 주기적으로 Access key 이용 현황을 점검하여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은 Access key를 삭제하는 경우 취약하지 않음 4. 취약점 확인 방법 - (1) 관리 콘솔에서 확인 관리 콘솔에서 [IAM] 검색 → [사용자]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