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DevOps Security Specialist를 목표하는 Security Compliance Engineer의 블로그
old/관리적 보안

[기사]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제도

출처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8192&page=3&kind=1관련링크 : https://www.kisis.or.kr/kisis/subIndex/80.do 오는 2018년부터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제도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이 제도는 성능평가를 통해 국내 정보보호제품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율 인증 제도로, 성능 평가제도 시행 및 평가인프라 확충, 성능평가 이용 활성화, 정보보호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정책방향으로 삼고 있다. ▲22일 엘타워에서 진행된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제도 소개 화면[이미지=보안뉴스]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는 운영환경에서 정상기능을 구현하는지와 사이버 공격에 적절히 대응하는지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정한 성능평가 항목..

old/관리적 보안

[기사] 개인정보 위탁시 꼭 지켜야 할 보안수칙 2가지

출처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8074&page=1&kind=1 IoT,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자율자동차 등 전 세계는 계속적으로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어 내며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 모든 흐름의 중심은 Human, 사람 중심의 변화를 사람들이 주도해 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중심에는 개인정보 보호라는 중요한 명제가 내포되어 있고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간의 편리성 증대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은 계속 증가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을 늘 인식하고 준비하며 관리해야 한다. [이미지=정환석 이학박사] 국내에서는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을 제정·시행해오고 있으며, 시대적..

old/관리적 보안

[기사] 보안 내재화의 핵심은 시스템을 간결하게 하는 것

출처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7858&kind=5 최근 보안 분야에서 자주 언급되는 이슈 중에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란 것이 있다. 다양한 사이버공격에 따라 그에 맞는 보안 솔루션들을 구축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지만, 애초에 취약점이 노출되지 않도록 제품이나 솔루션을 제작할 때부터 보안을 강화하는 개념이다. 금융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카카오뱅크가 이런 보안 내재화를 잘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카오뱅크에 정보보호 분야 자문을 맡은 김승주 고려대학교 교수는 보안 내재화가 국내에선 이제 막 시작하고 있지만,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온 개념이라고 말했다. 3일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된 ‘미래보안기술..

MR. ZERO
Security & Dev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