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minikube란? Minikube는 개발자가 로컬 머신에 Kubernetes 클러스터를 설정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도구로서, 손쉽게 K8s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Minikube를 사용하면 개발자가 본격적인 프로덕션 환경을 설정할 필요 없이 로컬에서 Kubernetes를 구축 및 운영할 수 있어서 테스트 및 스터디에 적합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또는 매니지드 환경에 구축할 필요 없이 로컬에 구성이 가능하므로 비용적인 부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Minikube 유사한 도구로는 K3s, K6s 등이 존재합니다. 1. WSL2 설치 1. 설치를 진행하기에 앞서 해당 글을 참고하여 WSL2 환경을 구성합니다. 2. 도커 설치 1.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도커 데스크탑을 설치합니다. 2. ..
1. 구성도 2. 대상 그룹(Target Group) 생성 EC2 > 대상 그룹 > 대상 그룹 생성 유형 인스턴스 대상(Private 인스턴스) 선택 3. ALB 생성 EC2 > 로드밸런서 > 로드밸런서 생성 기본구성 네트워크 맵핑 리스너 4. 참고 https://www.inflearn.com/course/aws-%ED%81%B4%EB%9D%BC%EC%9A%B0%EB%93%9C-%EC%9D%B8%ED%94%84%EB%9D%BC-%EA%B8%B0%EB%B3%B8
1. 구성도 2. Private subnet EC2 생성 EC2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생성 Bastion Host 접속용 키페어 생성 Private subnet 설정 및 퍼블릭 IP 비활성화 3. Private subnet EC2 접속 Public EC2 접속 후 Bastion Host 접속용 키페어를 .pem 확장자로 복사 pem 파일 권한 수정 chmod 400 key.pem Private EC2 접속 ssh -i key.pem [user_name]@[private_ec2_ip] 4. NAT Gateway 구성 VPC > NAT 게이트웨이 > NAT 게이트웨이 생성 이름, 서브넷, EIP 등 설정 라우팅 테이블 설정 Private subnet 라우팅 테이블에 NAT GW 추가 NAT GW 구성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