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정보보호 관리등급 제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7조의5 및 시행령 제55조의2, 3에 따른 정보보호 관리등급 제도는 ISMS인증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의 통합적 정보보호 수준을 제시하기 위한 제도. ISMS와의 차이는 아래 표와 같다. 관련자료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7조의5 및 시행령 제55조의2, 3에 따른 정보보호 관리등급 제도는 ISMS인증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의 통합적 정보보호 수준을 제시하기 위한 제도. ISMS와의 차이는 아래 표와 같다. 관련자료
민간 주도하에 자율적으로 정보보호 수준을 진단하는 제도인 정보보호 준비도. 10월까지 시범평가를 마치고 11월부터 본격 시행. 규모, 분야에 관계없이 평가를 희망하는 모든 기관과 기업은 신청이 가능하다. 의무사항인 기반지표(정보보호 리더십, 정보보호 자원관리), 활동지표(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보호활동)와 선택지표(개인정보보호)를 나눈것이 특징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이 인증기관을 맡고 TTA와 KAIT, CONCERT가 평가를 담당한다. 타 인증과의 비교표는 아래와 같다. 1년에 300만원 수준으로 타 인증에 비해 인증비용이 저렴하다고는 하는데 3년 내내 인증을 받으면 타 인증보다 비용이 비싸다... 관련 기사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792&kind..
[그림 1] 네트워크 통신 요약 침해사고 대응, 악성코드 분석, 네트워크 통신 분석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활용되고 있는 와이어샤크의 필터링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캡쳐환경에 따라 단 몇초에서 몇분이면 수 십 ~ 수 백mb의 캡쳐파일이 생성이 되는데 이럴경우 패킷분석에 큰 지장을 초래한다. 이를위해 와이어샤크에서는 Capture/Display 필터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분석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Capture Filter : 캡쳐 시작 전에 설정하며 특정 패킷만 캡쳐하는 필터링Display Filter : 캡쳐 이후에 설정하며 특정 패킷만 보고자하는 필터링 Capture Filter는 Capture - Options - Capture Filter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그림 2] Capture..
출처 : http://www.dailysecu.com/news_view.php?article_id=8092 NIA 김두현 부장 “PIPL 인증, 개인정보 유출 예방 및 대응체계 마련 계기”지난달 29일 개최된 데일리시큐 주최 PASCON 2014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 김두현 부장(사진)은 오후 키노트로 ‘개인정보보호 인증(PIPL) 부적합 사례를 통한 인증준비 전략’에 대해 공공-민간 개인정보보호 실무자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김두현 부장은 “개인정보보호 인증(PIPL)은 2013년 10월 28일부터 법적 근거를 마련해 시행중이며 현재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중”이라며 “인증위원회를 구성하고 현재 인증심사원 324명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9월에 ..
출처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771&page=3&kind=3&search=title&find 형식적 보안인증, 비전문적 보안조직, 정보보호 인식 제고가 현안정보보호, 단순히 통제가 아닌 조직문화로 정착시켜야중소기업의 보안수준 향상 위한 제도·정책 지원 필요 [보안뉴스 김태형] 최근 보안위협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국내 주요 기업들의 보안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의 정보보호 강화가 결국은 국가 전체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이는 것이라고 할 때 현재 기업의 정보보호 현안을 해결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각 기업의 정보보안책임자 및 CISO가 조직 내에서 최우선적으로 실행해야 ..
출처 : http://www.joy24.net/101 브라우저 캐시의 필요성브라우저 캐시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있는 디스크 또는 메모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캐시(client cache)라고도 합니다. 한 번 접속했던 웹 사이트들의 내용을 사용자의 메모리 또는 디스크의 캐시 디렉토리에 일시적으로 저장해 놓았다가 또 다시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캐시된 문서와 사이트에 위치한 문서를 서로 비교하여 웹 페이지의 내용이 바뀌었을 경우에만 사이트로 직접 가서 내용을 읽어 오고, 바뀌지 않았을 경우에는 캐시된 문서를 읽어서 보여 주게 되므로, 웹 문서를 빠르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브라우저 캐시의 종류캐시 기능에는 메모리 캐시(memory cache)와 디스크 캐시(disc cache)가 있습니다.메모리..